뇌교종 

 Glioma 


뇌교종은 뇌 조직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의 하나로, 뇌의 신경교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입니다.


  •  뇌교종이란? 

신경교세포(glial cell)는 신경세포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세포로, 이 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을 뇌교종이라고 합니다. 뇌교종은 악성 뇌종양 중 가장 흔한 유형으로, 주변 조직을 침범하면서 매우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2021년 세계보건기구(WHO)의 분류에 따라 크게 IDH-야생형 교모세포종(Glioblastoma, IDH-wildtype), IDH-변이성 별아교세포종(Astrocytoma, IDH-mutant), 희소돌기아교세포종(Oliogodendroglioma), 그 외 뇌교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뇌교종의 원인 

뇌교종은 종양의 발생과 관련된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발생하며, 이러한 유전자 돌연변이의 가장 큰 원인은 노화입니다. 즉, 특별한 원인이 없고, 누구에게나 무작위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방법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 외에 치료선량 이상의 과다한 방사선 노출, 일부 유전적 원인이나 환경적 요인도 작용할 수 있다고 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  뇌교종의 증상 

뇌교종의 증상은 종양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두통, 구토, 오심: 특히 아침에 심해지는 두통이 흔합니다.
- 발작: 종양이 뇌 신경세포를 자극하여 발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기억력 저하 및 인지장애: 종양이 뇌의 특정 부분을 압박하여 기억력과 인지 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언어장애: 말하기가 어려워지거나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시각 및 운동기능 장애: 시력 저하, 팔다리의 마비 또는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뇌교종의 진단 

주로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해 뇌교종을 진단하고, 종양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뇌교종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조직학적 진단이 필요한데, 주로 수술과 동시에 조직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뇌교종의 MRI 소견>

  •  뇌교종의 치료 

뇌교종의 치료는 종양의 유형, 크기, 위치 및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수술적 제거가 불가능한 부위에 발생한 경우 외에는 수술로 최대한 많은 종양 조직을 안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입니다. 이후에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항암약물치료와 방사선치료 등 표준치료를 시행합니다. 뇌교종이 재발하면 이전 치료, 연령, 전신 건강 상태, 질병 진행 양상에 따라 치료법이 선택되며, 수술, 항암약물치료, 방사선치료 등 다양한 치료가 시행됩니다.


<글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장종희 교수 >